칼럼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민주주의의 새로운 '종자'를 찾아…
'피의 나무에서 슬기의 나무로' <주권혁명> 손석춘
 
심범섭 시민기자   기사입력  2008/07/26 [16:44]
▶ 심범섭 선생님     ©디지털광진 ◀
그 날은 인류역사상 가장 끔찍하면서도 가장 빛나는 날이었다. 1793년 1월 21일이었다. 하늘과 땅이 자리를 바꾸는 그런 날이었다. 그건 정말 불가능한 일이었다. 하늘같은 왕과 그 노예가 자리를 맞바꾸다니! 그랬다. 그래서 이 엄청난 사실을 기록하기 위해 노예는 40킬로그램의 칼날을 떨어뜨려 왕의 목을 잘랐다. 바로 프랑스 국왕 루이16세의 목이 잘린 것이다.
 
노예들은 땅바닥에 '떨어진 왕의 목을 들고 환호했다' 이어서 기요틴은 아름다운 왕비 앙투아네트의 목을 자른 후 단두대 기요틴의 칼날은 무려 2만 여명의 피를 보고서야 멈췄다! . 그렇게 민주주의는 태어났고 왕의 목을 들고 환호했던 사람들은 시민이 되었다.  
 
그 비극을 위대하다고 우리는 노래했지만, 묻지 않을 수 없다. 꼭 그래야만 했을까? 이 책 '주권혁명'의 저자 손석춘은 비참하고 슬픈 이 이야기를 맑스와 레닌의 말을 빌어 말했다. 그게 바로 피를 먹고 살아가는 '민주주의'라고… 
 
그러면서 이 책을 쓴 손석춘은 한마디 더 붙인다. ‘민주주의는 '아름다운 나무이야기'이며 이 나무는 피를 먹고 산다’고, 뭐야 그걸 아름다운 나무라니…..미쳤나!! 아니 그럴지도 모른다. 민주주의라는 나무가 살기 위해서 아니 민주주의가 죽지 않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어야 했던가, 그건 사실이 아닌가 말이다. 그렇다. 민중이 민중의 피로 짓는 농사가 민주주의다.  
 
알다시피 손석춘은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의 원장이다. 그래서다. 그는 앉으나 서나 자나깨나 오직 ‘새로운 사회’만을 생각하고 있는가 보다. 이 피의 역사에서 그가 새삼스럽게 발견한 것은 우리가 다 아는 ‘주권’이다. 우리가 그저 일상으로 받아들이던 주권을 그는 민주주의를 개량하는 새로운 종자의 원 종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그는 지금 우리들의 땅 대한민국 광화문에서 벌어지는 우리들의 촛불시위에서 ‘대한민국’과 함께 화려하게 등장한 이 '주권'이란 단어를 예사롭지 않은 ‘초인의 눈’으로 바라 보고있다. 그는 광화문의 ‘주권’을 자신의 둥지 '새사연'으로 가져가서 마치 닭이 알을 품 듯 그것을 품고 새로운 꿈을 꾸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민주주의라는 나이테 속에 우리의 심장처럼 살아서 뛰는 주권이 있다’고 했다. 그 박동하는 심장을 ‘노동자가 주인이 되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깨워내는 우리의 21세기 새로운 민주주의의 종자로 만들어 내자고 한다. 그것을 그는 ‘주권혁명’이라고 했다. 그것이 진정한 민주주의이며 새로운 민주주의며 민중의 주권이 작동하는 민주주의라고 했다.
 
그러나 그런 민주주의가 거저 오겠는가. 그래서 그는 제안한다. ‘인류의 역사를 다시 읽고 다시 해석해야 한다’고 했다. 새로운 읽기로 새로운 논리와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자고 한다. 철학을 다시 읽고 경제와 문화와 정치를 다시 이야기하자고 한다. 그걸 ‘정치 읽기의 혁명’이라고 했다. 그랬을 때 몰락한 사회주의와 현실을 지배하는 신자유주의는 자신이 갇혀 있는 역사의 나이테 속에서 나와 자신이 왜 붕괴되었는지를 말할 것이며 왜 신자유주의가 인류의 대안이 아닌지를 말해 줄 것이라고 했다.
 
그랬다. 그래서 그가 읽어 낸 세계사와 그리고 철학,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은 그에게 아주 친절하게 ‘주권’을 ‘혁명하라’고 말해 준 것이리라.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가 자나깨나 앉으나 서나 오직 ‘새로운 사회’를 여는 그 하나만을 생각하는 삶을 통해 그가 일궈낸 이 ‘주권혁명’의 깊이와 넓이는 그래서 우리의 동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우리에게 대견한 성과물로 다가온다. 이 이야기는 결코 우리가 늘 보아왔던 입발림 같은 그런 ‘진보’논의가 아니다.
 
여기서 잠시 ‘주권’이라는 개념을 찾아 저자가 훑어온 발길에 주목해 보자. 그의 발길은 민중의 맹아가 싹튼 산업자본주의라는 근대 지평이다. 저자는 마르크스가 지적한 대로 산업자본주의에 의해 상공인이 왕정을 붕괴시킬 수 있는 대체세력으로 성장하는 지점의 자본주의의 산업화 현장에서 민주주의와 주권의 씨앗을 읽어내고자 한다. 그러니까 부르주아 민주주의 태내에서 주권의 또 다른 민주주의의 종자를 발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부르주아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의 탈을 쓴 가짜 민주주의이며 그것은 엄격히 말해서 자본주의일 뿐 민주주의가 아니라는 논리다. 그 민주주의의 탈을 뒤집어 쓴 형식에 의해 노동자들의 고통이 가중되면서 민중의 자각이, 운동이 일어나 민중의 인식에, 감성에 ‘주권’이란 것이 생성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 손석춘의 시야는 자본주의를 따라 부르주아 민주주의를 짊어지고 자본주의 저편 사회주의를 드텨가지 않을 수 없는 걸음을 통해 우리의 압축근대와 러시아의 부족한 혁명논리를 함께 보완하고자 한다.
 
한 발 더 나아가 저자는 민주주의와 주권이 우리민족의 분단체제에서 읽어져야 함을 설파한다. ‘주권혁명’의 논리를 확대하여 분단체제에서 고통 받고 있는 우리 민중의 현실로 가져가서 ‘민주경제’와 ‘민주! 경제론’을 제시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주권혁명’은 당연히 대한민국의 민중이 창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요틴에 목이 잘리던 루이 16세 국왕 못하지 않게 시민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면서도 그 보다 더한 영화를 누리고 있는 오늘의 경제권력을 보면서 인류의 역사가 더 이상 이대로 갈 수 없다는 생각은 우리 모두의 공통된 생각이다. 이 신자유주의가 무너질 때 닥쳐올 또 다른 비극을 상상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저자의 주권혁명은 이 땅에 그런 비극이 벌어지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지만 그건 비단 그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새로운 민주주의는 오지 않을 수 없다. 그건 우리 모두의 꿈이지 않은가.  **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8/07/26 [16:44]   ⓒ 디지털광진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