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양자로 입양된 자가 생부모의 재산을 상속할 수 있는지
좋은세상과 함께하는 법률산책(55회차)
 
디지털광진   기사입력  2016/02/17 [16:16]

 양자로 입양된 자가 생부모의 재산을 상속할 수 있는지

 

◎ 질 문

저는 수년 전 친척집에 양자로 입양되었고, 그 후 생모가 사망하자 생부는 아들이 있는 계모와 혼인신고를 하고 생활하다가 최근에 사망하였습니다. 계모는 제가 양자로 갔기 때문에 상속권이 없다고 주장하는데, 그것이 사실인지요?

 

◎ 답 변

▲ 이명규 변호사     ©디지털광진

「민법」제1000조 제1항에 의하면 제1순위의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입니다. 여기서 직계비속이란 자연혈족(친자식), 법정혈족(양자), 혼인중의 출생자, 혼인 외의 출생자, 남자, 여자, 기혼, 미혼 등을 구별하지 않으므로 양자는 양부모와 친생부모에 대하여 양쪽 모두에 있어서 제1순위의 상속인이 됩니다.

 

그리고 피상속인의 배우자는 직계비속 또는 직계존속이 있는 경우에는 그 상속인과 같은 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고, 그 상속인이 없을 때에는 단독 상속인이 됩니다(민법 제1003조 제1항). 여기서의 배우자는 혼인신고가 된 법률상의 배우자를 말하며, 사실상의 배우자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위 사안에서 계모가 데리고 온 아들은 피상속인의 혈족이 아니므로 상속인이 되지 못하고, 설령 계모의 아들을 귀하의 아버지가 구 호적(현행 가족관계등록부)에 입적시켰다고 하더라도 양자로서 입양을 시키지 않고 단순히 인수입적 시킨 것에 불과할 경우{이러한 경우를 가봉자(加捧子)라고 합니다}에는 역시 상속인이 아닙니다.

 

위 사안에서 계모는 혼인신고를 한 법률상의 배우자이기 때문에 상속권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귀하는 계모와 공동상속인이 되어 상속분은 계모 1.5 귀하 1이 되며, 분배율은 3/5 : 2/5가 될 것입니다.

 

참고로 양자를 상속할 직계존속에 친생부모도 포함되는지에 관한 판례를 보면, “신민법 시행 후 양자가 직계비속 없이 사망한 경우에 그가 미혼인 경우라면 제2순위 상속권자인 직계존속이, 그에게 유처가 있는 경우라면 직계존속과 유처가 동순위로 각 상속인이 되는바, 이 경우 양자를 상속할 직계존속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양자의 상속인에는 양부모뿐 아니라 친부모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라고 하였습니다(대법원 1995. 1. 20.자 94마535 결정).

 

다만, 2008. 1. 1.부터 시행된 친양자(親養子) 입양의 경우 친양자로 입양된 자는 양부의 성과 본으로 변경하고 친생부모와의 법적인 관계는 모두 종료(양부모 쌍방이 모두 친자관계 없는 아이를 입양하는 경우)되므로 친양자와 친생부모간의 상속권도 소멸된다고 할 것입니다.(이 사례는 대한법률구조공단 자료집을 참조하였음을 밝혀둡니다)

 

법률사무소 좋은세상 (02)455-2002

변호사 이 명 규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6/02/17 [16:16]   ⓒ 디지털광진
 
  • 도배방지 이미지

법률산책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